한자와 명언 曲 流 (곡류)전광진 (성균관대 명예교수) *굽을 곡(曰-6획, 5급)*흐를 류(水-9획, 5급)칭찬하는 말이나 글을 일러 찬사(讚辭)라고 한다. 찬사가 좋지만 지나치면 어떻게 될까? 먼저 ‘曲流’란 한자어를 하나하나 분석하여 꼭꼭 새겨 본 다음에 궁금증을 풀어보자.曲자는 ‘굽다’(bent)는 뜻을 나타내기 위하여 ‘ㄱ’자 형태로 굽은 자, 즉 ‘곱자’의 모양을 본뜬 것이다. 후에 ‘굽히다’(bend down) ‘가락’(a melody) 등으로 확대 사용됐다. 부수가 ‘曰’(왈)임을 알기 힘들다. 이 기회에 잘 알아두자
[한자와 명언]雪 景 (설경)전광진 (성균관대 명예교수)*눈 설(雨-11획, 6급)*볕 경(日-12획, 5급)잘못을 범하는 것은 누구나 똑같다. 다만 그것을 고치느냐 그냥 방치하느냐 그 차이가 있을 뿐이다. 고치지 않고 그냥 두면 어떻게 될까? 먼저 ‘雪景’이란 한자어를 공부한 다음에 답을 찾아보자.雪자에 쓰인 雨는 하늘에서 내리는 ‘비’나 ‘눈’ 등을 통칭한 것인데 편의상 이름하기를 ‘비 우’라고 한 것이다. ⺕(계)는 彗(빗자루 혜)를 줄여 쓴 것으로, 눈을 쓸 때 쓰는 빗자루를 가리킨다고 한다. ‘눈’(눈) ‘희다’(white
한자와 명언 旅 團 (여단)전광진 (성균관대 명예교수) *군사 려(方-10획, 5급) *모일 단(囗-14획, 5급)‘그 곳에 보병 여단을 파병하였다’의 ‘여단’은 여성 군인과 관련이 있나요? 한글만 알면 이런 질문을 할 듯! 한자도 좀 알면 ‘旅團’이 여행 단체를 말하는 것인가요? 이런 질문을 할 수도! 암튼 질문은 아무 것이나 다 좋다. 생각의 여지를 남기기 때문이다. 旅자는 ‘(500명의) 군사’(soldier)를 나타내기 위하여, 하나의 깃발아래 모인 여러 병사들의 모습을 그린 것이었다. 그들 중에는 먼길을 떠나온 사람들이 많
한자와 명언料 理 (요리)전광진 (성균관대 명예교수)*헤아릴 료(斗-10획, 5급)*다스릴 리(玉-11획, 6급)누구나 살다보면 이것, 저것 걱정 거리가 많기 마련이다. 그런데 무엇을 걱정하는 가에 따라 人性이 아니라 人品이 드러난다고 한다. 인품이 훌륭한 사람은 나이가 들수록 자신의 무엇을 걱정해야 할까? 우선은 음식을 잘 섭취해야 하니 ‘料理’란 한자어의 속뜻을 풀이해본 다음에 답을 찾아보자.料자는 ‘(곡식을) 되질하다’(measure rice with a doe)는 뜻을 나타내기 위해서 ‘곡식 미’(米)와 ‘말 두’(斗)를 합
한자와 명언 敬 拜 (경배)김광진 (성균관대 명예교수) *공경할 경(攴-13획, 5급)*절 배(手-9획, 4급)사랑하고, 사랑받고! 존경하고, 존경받고! 이 얼마나 좋은 일인가!남들에게 사랑을 받고, 또 존경을 받고 싶으면 어떻게 해야할까?먼저 ‘敬拜’란 두 한자의 속을 샅샅이 훑어본 다음에 그 비결을 찾아보자.敬자는 ‘삼가하다’(be cautious)는 뜻을 나타내기 위해서 苟(진실로 구)와 攴(칠 복 =攵), 두 의미요소가 합쳐진 것이다. ‘공경하다’(revere; venerate) ‘존경하다’(respect)는 뜻을 나타내는
한자와 명언 : 救 援 (구원)전광진 (성균관대 명예교수) *건질 구 (攴-11획, 5급)*당길 원 (手-12획, 4급)기독교에서 ‘인류를 죽음과 고통과 죄악에서 건져내는 일’을 일러 ‘구원’이라고 하는 까닭은 ‘救援’의 속뜻을 알면 이해가 잘 됨은 물론 기억도 쏙쏙 잘 된다. “속뜻 몰라 공부 쪽박! 속뜻 알면 공부 대박!!”救자는 ‘칠 복’(攴=攵)이 의미요소이고, 求(가죽옷 구)는 발음요소로 ‘금지하다’(forbid)가 본뜻이라고 하는데, 그 의미로 쓰이는 예는 극히 적다. ‘구해주다’(relief) ‘건지다’(pick up)
[에듀인뉴스(EduinNews)한자와 명언 : 有 效 (유효)전광진 (성균관대 명예교수)*있을 유(月-6획, 7급)*효과 효(攴-10획, 5급)허울뿐인 명성을 추구하다 헛탕을 친 사람들을 보면 안타깝기 그지없다. 그런 일을 당하지 않고 실한 삶을 찾는데 참고가 될만한 명언이 없을까? 조급해 하지 말고 먼저 ‘有效’란 두 글자를 차근차근 풀이해본 다음에....有자는 고기 덩어리(月→肉)를 손(又)으로 잡고 있는 모양에서 유래된 것이다. 즉, 두 개의 의미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가지다’(have) ‘있다’(there is) 등으로
한자와 명언打 算 (타산)전광진 ( 성균관대학 명예교수) *칠 타(手-5획, 5급)*셈 산(竹-14획, 7급)남에게 원망을 들으면 가슴이 찢어진다. 그런 일이 없자면 평소에 어떻게 해야 할까? 먼저 ‘打算’이란 한자어의 속뜻과 정의를 알아본 다음에 답을 찾아보자.打자는 ‘(손으로) 치다’(hit)가 본뜻이니, 손 수(扌=手)가 의미요소다. ‘못 정’(釘)의 본자(本字)인 丁(정)도 의미요소로 간주해도 될 것 같다. 이 글자의 [타]라는 독음은 중국의 어떤 방언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두드리다’(beat) ‘공격하다’(atta
한자와 명언 : 惡 種 (악종)전광진 (성균관대 명예교수) *악할 악 (心-12획, 5급)*갈래 종 (禾-14획, 5급)인품이 훌륭한 사람은 남의 ○○을 숨기지 아니하고, 남의 ○○을 말하지 아니한다. 공란에 들어갈 말은 무엇일까요? 먼저 ‘惡種’이란 한자어의 속뜻과 정의를 알아본 다음에 답을 찾아보자.惡자는 ‘잘못’(a blame)이 본뜻이니, ‘마음 심’(心)이 의미요소로 쓰였다. 모든 잘못은 마음에서 비롯됨을 이로써 알만 할 듯. 亞(버금 아)가 발음요소임은 堊(백토 악)도 마찬가지다. 후에 ‘나쁘다’(evil) ‘불쾌하다’(
한자와 명언 : 念 願 (염원)전광진 (성균관대 명예교수) 念 願*생각 념(心-8획, 5급)*바랄 원(頁-19획, 5급)꿈은 이루어진다. 하지만 아무 꿈이나 다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소원도 마찬가지다. 하늘은 어떤 소원을 들어줄까? 먼저 ‘간절한 염원’의 ‘念願’이란 한자어를 알아본 다음에 답을 찾아보자.念자는 ‘마음 심’(心)이 의미요소이고, 今(이제 금)은 발음요소였는데 음이 약간 달라졌다. 머리 속에 품고 있는 생각, 즉 ‘생각’(a notion)이 본뜻인데, ‘생각하다’(consider) ‘암송하다’(recite) 등으로
한자와 명언 : 功 德 (공덕)전광진 (성균관대 명예교수)功 德*공로 공(力-5획, 6급)*베풀 덕(彳-15획, 5급)사실대로 말하는 것을 이실직고(以實直告)라고 한다. 이실직고하여 공을 세울 수도 있지만 죄를 지어 큰 낭패를 당할수도 있다. 사실대로 숨김없이 말하는데 왜 죄가 될까? 먼저 ‘功德’이란 한자어의 속뜻과 정의를 알아본 다음에 왜 그런지 그런 사례를 찾아보자.功자는 ‘공을 세우다’(perform meritorious deeds)는 뜻을 위해서 고안된 것이다. 공구[工]를 들고 힘들여[力] 일하는 모습임을 연상해 볼 수
[에듀인뉴스팀]한자와 명언 : 奉 祝 (봉축) 전광진 (성균관대 명예교수)*받들 봉 (大-8획, 5급)*빌 축 (示-10획, 5급)부처님의 자비심을 발휘하는 것은 아무나 할 수 없은 어려운 일일까? 아니면 대단히 쉬운 일일까? 먼저 ‘봉축 대법회’의 ‘奉祝’이란 두 글자를 속속들이 알아 본 다음에 답을 찾아보자!奉자가 원래는, 의미요소인 ‘손 수’(手)와 ‘받들 공’(廾), 그리고 발음요소인 ‘예쁠 봉’(丰)이 결합된 것이었다. ‘(두 손으로 공손히) 받들다’(hold up)가 본뜻인데, ‘돕다’(give a helping hand
[에듀인뉴스팀] 한자와 명언 : 局 量 (국량)전광진 (성균관대 명예교수)말은 아무리 잘해 봤자, 오래가지 못한다. 시간적 제약과 공간적 제한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글은 오래 가고 멀리 간다. 글을 잘 쓰자면 어떻게 해야할까? 먼저 ‘局量’이란 한자어의 속뜻을 알아본 다음에 답을 찾아보자.*局 판 국 (尸-7획, 5급)*量 헤아릴 량 (里-12획, 5급)局자는 ‘법도 측’(尺)과 ‘입 구’(口)가 조합된 것이었는데, 전체적인 배치와 균형감을 위해서 尺의 모양이 약간 달라졌다. ‘소견이 좁다’(narrow-minded)가 본뜻인데
*지금 현(玉-11, 6급) *시대 대(人-5, 5급)現자는 ‘옥빛’(the brightness of a jade)이 본래 의미였다. ‘나타나다’(appear)는 뜻은 원래 見자로 나타내고 이 경우에는 [현:]으로 읽다가 혼동하는 사례가 잦아지자 독음이 같은 現자로 대신하게 하였다. ‘지금/이제’(the present)를 뜻하기도 한다. 代자는 ‘(사람을) 교체하다’(change)는 뜻이니 ‘사람 인’(人)이 의미요소로 쓰였고, 弋(주살 익)은 발음요소란 설이 있지만 문제가 많고, 그렇다고 의미요소로 보기에도 어려운 점이 있다. 후
*모을 집(隹-12, 6급) *둥글 단(囗-14, 5급)集자는 ‘모이다’(crowd)는 뜻을 나타내기 위해, 새가 떼를 지어 나무 가지에 옹기종기 모여있는 모양을 그린 것이었다. 원래는 ‘나무 목’(木) 위에 세 개의 隹(새 추)자를 썼는데, 쓰기에 편리하도록 하기 위하여 하나로 줄었다.團자는 ‘둥글다’(round)는 뜻을 적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囗’(에워쌀 위)가 의미요소로 쓰였다. 음 차이가 크지만 專(오로지 전)이 발음요소임은 摶(뭉칠 단)도 그렇다. 여러 사람이 모이면 대개 원형을 이루었기에 ‘모이다’(assemble
*지날 과(辶-13, 5급) *갈 거(厶-5, 5급)過자는 ‘지나가다’(go past)란 뜻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으니 ‘길갈 착’(辶=辵)이 의미요소로 쓰였다. 咼(비뚤어질 괘)가 발음요소임은 鍋(노구솥 과)도 마찬가지다. 후에 ‘지나치다’(go too far) ‘잘못하다’(make a fault)로 확대 사용됐다. 去자는 ‘흙 토’(土)와 ‘개인 사’(厶)의 조합으로 보면 큰 오산이다. 土는 성인의 모습인 ‘큰 대’(大)가 잘못 변한 것이고, 厶는 ‘움집’을 가리키는 凵(감)이 변화된 것이다. 집을 나서는 어른의 모습을 통하여
*일할 로(力-12, 5급) *움직일 동(力-11, 7급)勞자는 ‘힘들다’(be hard)는 뜻을 나타내기 위해서 ‘힘 력’(力)과 ‘등불 형’(熒)의 생략형을 합친 것이다. 예전에는 집에 불을 밝히는 일이 매우 힘들었나 보다. 후에 ‘애쓰다’(try hard) ‘고달프다’(tired out) 등으로 확대 사용됐다.動자는 ‘힘 력’(力)이 부수이자 의미요소다. 重(무거울 중)은 원래 童(아이 동)이 변화된 것으로 발음요소 역할을 하고 있었다. ‘만들다’(make)가 본뜻인데, ‘행동하다’(act), ‘움직이다’(move)는 뜻으로도
*적을 기(言-10, 7급) *베낄 록(金-16, 4급)記자는 ‘(말이나 일을) 적어두다’(make a note)는 뜻이니 ‘말씀 언’(言)이 부수이자 의미요소로 쓰였고, 己(자기 기)자는 발음요소다. 후에 ‘기억하다’(memory) ‘외우다’(memorize) 등도 이것으로 나타냈다. 錄자는 ‘금색’(a golden color)이 본뜻이니 ‘쇠 금’(金)이 의미요소로 쓰였고, 彔(나무 깎을 록)은 발음요소이니 의미와는 무관하다. 금색으로 글을 쓰는 예가 있었기 때문인지 ‘기재하다’(record) ‘적다’(write)는 의미로도 쓰
*다를 이(田-12, 4급) *보통 상(巾-11, 4급) 異자의 갑골문은 가면을 쓰고 두 손을 흔들며 춤을 추는 기이한 귀신의 모습을 그린 것이다. 그래서 ‘기이한’(strange) ‘다르다’(unlike) 등의 의미를 나타내는 것으로 쓰인다.常자는 ‘치마’(a skirt)가 본뜻인데, ‘수건 건’(巾)이 의미요소로 쓰였다. 尙(숭상할 상)은 발음요소이니 뜻과는 무관하다. 그런데 치마는 늘 입고 있어야 한 것이었기에 ‘늘’(all times)이라는 의미로 확대 사용되는 예가 많아지자, 본래 의미를 위해서는 따로 裳(치마 상)자를 만
*싸울 전(戈-16, 6급) *다툴 쟁(爪-8, 5급)戰자는 ‘싸우다’(fight)는 뜻을 위해 고안된 것으로, ‘창 과’(戈)가 의미요소로 쓰였다. 單(단)도 수렵용 무기의 일종이라는 설이 있기에 의미요소로 볼 수 있겠다. 그러나 樿(회양목 전)의 경우로 보자면 그것이 발음요소도 겸하는 셈이다. 爭자의 ‘爪’(조)와 ‘彐’(계)는 ‘손 우’(又)의 변형이고, 亅(궐)은 작대기 모양이 바뀐 것이다. 풀이하자면, 작대기를 서로 차지하려고 두 사람(손)이 서로 잡고 끌어당기는 모습을 통하여 ‘다투다’(struggle)는 뜻을 나타낸 것